건강도시 법제화 이전/이후의
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의 학술업적
학술대회 및 창립
1. 근로청소년의 전인건강프로그램의 효과(김숙자)
2. 전인건강학회의 비전과 할 일(조무성)
1. 전인건강과 건강도시운동과의 관계성(노영상)
2. 건강도시와 전인건강(조무성)
3. 전인건강과 신체활동(자전거 타기를 중심으로 (문익수)
4. 전인건강과 식생활(한나)
학술대회 및 창립
1. 근로청소년의 전인건강프로그램의 효과(김숙자)
2. 전안건강학회의 비전과 할 일(조무성)
1. 맞춤 항암화학요법(신성훈)
2. 한의학과 환자중심의 치료(조종관)
3. 암환자의 전인치료모델과 보완대체의학(조무성)
4. 암환자의 전인적 간호(김은심)
5. 암의 예방 및 치료(이종웅)
6. 정신의학(박용준)
7. 샘안양병원 사례(이채영)
8. 선린병원 사례(강재명)
9. 목회 간호 사례(김정남)
1. 지역사회와 사회복지(최무열)
2. 건강한 사회와 건강한 인간을 위한 사회복지의 방향: (박창우)
3. 건강도시를 위한 삶터로서 사회복지(조무성)
4. 복지재단설립을 통한 사회복지 (박재형)
5. 만성 정신 장애인 재활시설(섭리가정) 운영사례(이옥자)
6. 사랑의 울타리 운영사례(정창덕)
1. 샬롬커뮤니티와 건강도시사업(조무성)
2. CHE의 이론과 실제(민요섭)
3. 전인치유관점에서 첨단 암치료 (이채영)
1. 건강도시를 위한 교통계획 및 도시개발 (최회균)
2. 전인건강과 목회간호 및 간호교육의 적용: 고신대학 간호학과를 중심으로 (이영은)
3. 전인건강간호 실천사례로서 1900년대 초기 광주 여성지도자 서서평:
한국 여성개화에 일생을 바친 간호선교사 Shepping (소향숙)
4. Evolution of Parish Nursing in Korea & International Parish Nursing (김정남)
9. 수련의를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 개발 (고수진)
10. 학생선수들의 행복한 운동생활을 위한 대학스포츠의 역할 탐색 (문익수 장남제 한동희)
11. 전인건강인의 식생활 (한나)
1.자살에 대한 통합적 모형제시 및 모형의 신학적 근거에 관한 논고(김주형) 2. 자살예방을 위한 정신건강의 역할 (남윤영)
3. 노인자살에 대한 이해와 대응 (강은정)
4. 북한 이탈주민을 위한 사회언어문화 친화적 보건의료지원체계 (박상민)
5. 바하밥집: 노숙자무료급식 (김현일)
1. 기조발제 학교폭력과 전인건강 (박재형)
2. 학교폭력의 원인과 대책 (이정명)
3. 청소년의 학교폭력예방과 재발방지를 위한 학교체육과 스포츠의 교육적 효과 이해 (문익수)
4. 학교폭력에 대한 대한 음악 교육적 대응 전략 (양종모)
5. 학교 폭력 예방 및 관리 :전인적 접근 “ 내가 꿈꾸는 학교 이루어 질 수 있을까
1. 건강도시를 위한 암재활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2. 자동차 배기가스의 발암물질이 도시환경에 미치는 영향
3. 암환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들과 생존기간과의 상관관계 (김주형)
4. 외국의 암환자 재활서비스프로그램의 현황과 현실적용 (태영숙)
5. 서울대학교병원 암정보교육센터(박귀옥)
6. 암환자 경험하는 심리적 외상과 재활 (김은심)
7. 암환우의 재활프로그램 (김도봉)
8. 복내전인치유센터의 전인치유프로그램 (이박행)
9. 동산병원의 치유프로그램 (송미옥)
1. 건강도시와 간호모임의 역할(김정남)
2. 건강도시를 위한 해비타트의 접근 방식과 원리 (권이영)
3. 건강도시만들기와 협동조합의 가능성 (이상무)
4. 건강도시와 한국교회의 역할: 성남시 대형교회들의 사례분석 (조무성)
5. 강동구 건강한 학교만들기 (편혜숙)
6. 건강도시와 건강영향평가(강은정)
1. 건강도시와 전인건강정책 (조무성)
2. 건강도시와 마을 공동체 만들기 (노영상)
3. 서서평의 생명살리기 운동 (소향숙 )
4. 지방자치단체가 나아갈 건강도시방향 (박영석)
5. 암환자의 자연치유 (홍성진 )
6. 통합적 암재활프로그램 ( 이박행)
7. 호스피스사역과 지역사회연계(박인순)
8. 음악치료 (이은정 )
1. 키에르케고어로 본 세월호 사건 (박창균)
2. 세월호 사건을 경험한 대상자의 심리적 외상관리( 김은심)
3. 세월호 사건에 대한 정신적인 해석과 대책 (김주형 )
4. 건강도시환경 구현을 위한 에너지협동조합 활성화방안: 햇빛발전소를 중 심으로 (최회균)
5. 암환자를 위한 지역사회 중심 쉼터 사례 (송미옥)
6. 건강도시관점의 암환자쉼터 만들기 : 성남시 취약계층의 적용 (조무성)
1. 암환자의 트라우마(김은심)
2. 암환자의 전인건강적 접근(신체적) (박용준)
3. 암환자의 전인건강적 접근(정신적) (김수지)
4. 암환자의 전인건강적 접근(영적) (김주형)
5. 암환자의 전인건강적 접근(환경) (이박행)
6. 암환자의 전인건강적 접근(심리) (김윤식)
7. 트라우마의 사회적 접근(박창균)
8. 유방암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양승경)
9. 암환자의 ]트라우마(힐링무비 적용)
1. 생애주기별 건강도시 : 공적신학관점의 노화(조무성)
2. 아동/청소년 : 생활환경, 교육 등 (백은성)
3. 청년:취업, 청년실업 등 ( 박창균 )
4. 직업환경, 퇴직 (은퇴) 등 (김도봉)
5. 생활환경 건강 등 (김은심 )
1. 전인건강측면에서의 가정문제 (구교성)
2. 전인건강측면에서의 노인문제 (엄재정 조현미)
3. 전인건강측면에서의 학교(학업)문제 (오성주)
4. 전인건강즉면에서의 다문화사회문제 (이병수)
5. 전인건강측면에서의 직장(취업)문제 (박창균 )
6. 당뇨 당뇨전증 식이요법 ( 한나 )
1.전인건강연구의 흐름과 적용:전인건강학회의발자취(조무성)
2. 의학과 전인건강 (박시운)
3. 사회와 전인건강 : 조세의 공정성과 건강사회 (김문수)
4. 간호와 전인건강(정정숙)
5. 교육과 전인건강: 온전한 자아형성을 위한 전인건강교육 (오성주)
6. 간호와 전인건강: 간호프로그램 중심으로 (엄재정)
7. 현장사례발표: 정신장애자 프로그램 (말리홀트, 조병욱 )
8. 현장사례발표: 간호의 실습현장 (전혜련)
1. 주제 강연-노령화 사회와 전인건강의 역할(조무성)
2. 노인의 신체적 건강 (윤용순)
3. 노인의 정신적 건강 (김보영)
4. 노인의 사회적 건강과 복지 (오정석 )
5. Well-Dying (김강미자 명예교수 )
6. 노인 정신적 간호 (윤매옥 )
1.전인건강학회와 기독보건학회의 과거와 현재(조무성)
2.사회과학과 전인건강(김문수)
3.신학과 전인건강(오성주)
4.간호학과 전인건강(정정숙)
5.보건학과 전인건강(강은정)
6.의학과 전인건강(박시운)
1. 마을공동체와 전인건강(조용훈 교수)
2. 세계관으로 본 삶과 죽음의 문제(황대우 교수)
3. 보건의료 분야의 세계관 적용(백은성 사무총장)
4. 건강도시와 공적신학의 인간이해(조무성교수)
1. 대학 건강캠퍼스 조성과 건강도시 : (조무성)
2. 4차 산업혁명과 대학 (김지원)
1. 건강도시내 건강캠퍼스사업과 지표개발의 방향: 전인건강의 접근(조무성 )
2. 삶의 질과 교육공동체 (오성주)
3. Holistic Health. Lifestyle medicine and Cancer Rehabilitation(박시운)
4. 백석대학의 절주 프로그램의 운영결과 및 제언 (윤미선)*
1. 전인건강과 건강도시 및 샬롬 시티 조성: 대구시 적용(조무성)
3. 트라우마 대상자를 위한 산림 치유 (김은심)경상대 명예교수)
4. 전인건강과 well-dying (전재규, 계명대 명예교수)
5. 한국 호스피스의 현황 및 정책방향 (송미옥, 한국호스피스협회 회장)
6. 국제간호 network개발 및 활용전략 (김정남, 계명대 명예교수)
7. 간호 자원개발 및 활용전략:한국과 일본 사례(이은숙, 계명대교수)
1. 21세기 뉴노멀 시대를 위한 생명-생존-생활 메시지: 사랑의 관계/연결 생활”- 성경과 과학 그리고 생활습관의학이 증명하는 생명사랑의 법) 이승현(미 로마린다의대 교수)
2. 스마트 시티 정창덕
3. 건강도시와 LM의 만남: 전인건강의 관점 (조무성 고려대) 온전함을 위한 전인건강 오성주(감신대 )
4. 해독 조율 건강이론 이왕림(전리압구정클리닉 원장)
5. 만성통증환자에서의 LM 이혜원(고대의대교수)
6. “삶의 이해? 마음먹기 달려있지 않을까요~!” 이기주 (충북대)
7. 영성과 생활습관의학 박용준 (연세대의대)
8. 국내아동/청소년비만과 HIAP접근 이성희 (고려대 건강도시연구센터)
9. 복지현장에서의 LM의 적용 박미연 (창동노인복지센터 관장)
10. 발성작용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서동일 (발성교정원 원장)
제1회 전인건강학회 전인건강과 LM 콜로키움
1. “위기의 시대, 마음 다스리기의 행복학” 이기주교수(충북대)
2. <생명체계에 새겨진 행복 그리고 사랑과 웰니스 약속> 이승현교수(로마린다의대)
1. 건강도시와 전인교육” 오성주교수(지정 토론자 : 김지원교수)
“웨슬리의 통전적 구원론과 전인교육” 오성주(감신대)
– 토론 : 이병수(고신대국제문화선교학과) “전인건강과 시” – 도대체 시가 뭐길래?- 권이영시인
– 토론 : 이왕림(전고대통합의학센터, 전압구정클리닉원장 )
주제 : “건강한 생활방식과 생활터의 LM활용”
1. “직원들에게 운동생활 동기부여를 통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서강석(전주 사랑샘병원장)
2. “의료와 교육학의 만남을 통한 전인건강을 위한 생명신학적 고찰” 오성주(감신대교수)
주제 : “건강한 생활방식과 생활터의 LM활용”, “직원들에게 운동생활 동기부여를 통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발제자 : 서강석(광주 사랑샘병원장)
1토론자 : 신성훈 교수(고신대 의대)
2토론자 : 이대희 이사장(효산의료재단, 안양샘병원/지샘병원)
전인건강학회 제 24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 및 발표주제 :
1)건강도시법제화와 LM 활용 시민건강강화생활프로그램(CHELP):
전인건강접근 – 조무성 교수
2)신학교육과 LM활용방안에 관한 고찰 – 오성주 교수
3)환경문제 의사결정과정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사례연구(draft) – 김문수 박사
4)건강도시법 제정과 건강도시 발전방향 – 권경희 교수
5)암환우를 위한 생활습관 전인치유프로그램 – 최병우 목사
6)전인치유 현장의 사례소개 – 이승우 목사
전인건강학회와 대한생활습관의학 교육원(KCLM)과 MOU체결
2021년 제1-4기 하버드 기반코스 생활습관의학 교육원 강좌
일시 : 2021∼
장소 : 줌
전인건강학회 회원 LM강좌 1기(22명)
전인건강학회 회원 LM강좌 2기(35명)
전인건강학회 회원 LM강좌 3기(37명)
전인건강학회 회원 LM강좌 4기(69명)
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의
건강도시 법제화(2021. 12. 21) 이후 학술활동
•전인건강학회의 건강도시법제화 노력(2021. 5월부터)
•건강도시법제화(2021. 12. 2 국회본회의 통과)
•제6조의5(건강도시의 조성 등)
① ….도시의 물리적ㆍ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조성ㆍ개선하는 도시를…
② ….건강도시지표를 작성하여 보급….
③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④ 그 밖의…….
•세미나 개최 : *장소(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
*시간(2022. 2. 25. 금 오후 2시-4시)
•주최 : 서정숙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
•주관 :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고려대 건강도시연구센터
-국민이 행복한 살맛나는 건강도시 지표 개발을 위한 정책 세미나-
주제발표:
•“한국건강지표설계방안연구” 김문수 박사 (전 전인건강학회 회장)
•“지방자치단체 건강도시프로파일에 나타난 건강도시지표” 이성희 박사
(고려대 건강도시연구센터 연구위원)
패널토론:
•윤은기 동아대 행정학과 교수
•권경희 백석문화대 보건의료행정과 교수
•강은정 순천향대 보건행정경영학과 교수
•이선영 보건복지부 건강정책과장
•오유미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지역보건실장
•세미나 개최 : *장소(국회제8간담회실)
*시간(2022. 3. 25 (금) 오후 2시-4시)
•주최 : 서정숙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
•주관 : 도시건강학회
-시행령 개정방향에 관한 정책토론회-
주제발표:
•건강도시발정을 위한 건강지표 개발 방안. 박윤형 교수(순천향대, 건강도 시 및 건강영향평가연구소소장)
•건강도시 활성화를 위한 국민건강증진법 시행령 개정 방향. 강은정 교수 (순천향대, 도시건강학회회장)
패널토론:
•고광욱 교수(고신대 예방의학교실, 도시건강학회 부회장)
•변병설 교수(인하대 행정학과, 도시건강학회 부회장)
•김은정 교수(계명대 도시학부, 도시건강학회 부회장)
•이성희 박사(고려대 건강도시연구센터 연구위원)
•오유미 박사(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정책연구평가 실장)
충남 내포신도시 건강도시 만들기 사업 현황
글로컬건강도시연구원 → 권경희교수,, 이성희박사, 조무성교수
호스피스 · 완화돌봄을 위한 정책토론회
「2022 건강도시 정책토론회」개최
◉발표자 : 홍성군수(연구원 구성원 아님)
▷토론자 : 조무성교수(글로컬건강도시연구원 원장)
당진천사운동본부 방두석 이사장(왼쪽 첫번째)을 초청해 두 번째 초청간담회
진해시민을 위한 건강도시 세미나 (진해 청소년 수련관)
강사: 이성희박사(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 사무총장)
경남도민을 위한 건강도시 세미나 (국립창원대학교)
글로컬 건강도시연구위원(왼쪽부터)
강성도박사, 박진규박사, 이성희박사(사무총장), 최해범교수(전,창원대 총장), 이성진교수, 정재한박사
경남도민을 위한 건강도시세미나 (경상남도의회 대강의실)
좌장:강정운교수(글로컬건강도시연구원 고문),
발제자: 이성희박사(글로컬건강도시연구원 사무총장)
토론자: 이성진박사(글로컬건강도시연구원 위원)
토론자: 박진규박사(글로컬건강도시연구원 위원)
부산시민을 위한 건강도시세미나 (부산진구청)
강연자: 이성희박사(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 사무총장)
토론자: 부산진구청 구민
충남도의회 – 지속가능한 건강도시 만들기 연구모임 결성(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 지도)
경남하동군 “복지농어촌운동” 과 MOU체결 기념 건강도시 세미나 (하동 악양명품관)
강연: 이성희박사(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 사무총장)
내포(혁)신도시 발전… 함께 생각하다
행정복지연구소. 글로컬건강도시연구원 공동 주최 토론회 열어
장소: 내포평생교육원
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의 학술활동
*장소: 충남대천 한화파로스리조트
*시간: 2023 6. 22. 목. 오전 10:40-12:00
권경희교수 문은숙박사 조무성교수
글로컬 건강도시연구원의 학술활동
*장소: 충남대천 한화파로스리조트
*시간: 2023 6. 22. 목. 오후 1:00-2:40
권경희교수 정문기교수 조무성교수 이성희박사 이정희박사
순천향대 김민정 교수, 건양사이버대 이희승 교수, 남서울대 이수정 교수를
두 전직 보건복지부장관과 서정숙(국민의 힘 보건복지위원)국회의원외 100여명의 전국회원들과 함께 성황리에 행사를 진행
고려대학교 현대자동차경영관(205호)